subvisual


1. 연구사업


   본 연구소는 정부 및 민간이 지원하는 다양한 연구사업을 수행해 왔다. 대표적으로 2001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학술진행재단(현 한국연구재단)의 중점지원연구소에 선정되어 3단계 6년 동안 "세계화. 정보화와 동아문명의 미래", "세계화, 정보화에 따른 한국 국가-시민사회의 변화와 대응" 등의 총괄과제에 해당하는 공동연구를 수행하였다. 2009년에는 한국연구재단 중점지원연구소에 재차 선정되어 "서구중심주의, 지식체제 그리고 한국의 사회과학"(1단계: 2009~2012년)이라는 주제 하에 공동연구를 수행하였고, 이어 2단계에 진입하여 "한국 사회과학의 종속적 발전 및 왜곡에 대한 비교 역사/문화/제도 분석과 지구정치경제학적비판"(2단계: 2012~2015년)이라는 연구사업을 진행한 바 있다.



2. 조사연구

 

   본 연구소는 다양한 조사연구를 통해 사회 문제의 해결에 기여해 왔다. 구체적으로 (1) "신문구독자에 관한 실태 및 의식조사"(1989년 한국일보사 지원), (2) "네티즌의 사회의식 분석조사연구"(2002년 한국학술진흥재단 지원), (3) "2004년 4.15 총선 후보자 의식조사" (2004년 한국일보사 공동조사), (4) "강원도민의 정치, 사회의식 조사" (2007년 강원도민일보 공동조사) 등의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3. 출판활동


   본 연구소는 각종 연구 활동의 결과물을 출판함으로써 학술정보의 교류 및 사회적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소가 발행하는 등재지 <<사회과학연구>>는 2022년 2월 28일까지 통권 29집 2호까지 발간되었다. 특히 <<사회과학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2003년도 상반기 학술지 평가에서 '등재후보지'로 선정되었으며, 2006년도 학술지 평가에서는 '등재지'로 승격되어 현재까지 그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아울러 본 연구소의 다양한 연구 활동의 결과물을 집약하여 발행한 단행본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세계화 국가 시민사회 -세계화, 정보화 시대 국가-시민사회와 정체성>>(2006, 이매진), <<세계화, 정보화, 남북한: 남북한의 국가-시민사회와 정체성>>(2007, 이매진), <<세계화와 한국의 국가-시민사회1: 세계화, 정보화에 따른 한국 국가-시민사회의 변화와 대응>>(2008, 이매진), <<세계화와 한국의 국가-시만사회 2: 세계화, 정보화에 따른 한국 국가-시민사회의 변화와 대응>>(2009, 이매진), <<정치학의 정체성: 한국 정치학의 주체성을 위하여>>(2013, 책세상), <<넘나듦의 정치사상>>(2013, 후마니타스) 등이 있다.



4. 학술회의 개최


   본 연구소는 학술대회(Conference), 논문발표회(Colloquium), 특별강연회(Special Lecture), 저자와의 대화(Meet the Author) 등의 국내외 학술회의를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있다.